본문 바로가기
영화&넷플/영화

버드박스, "Don't open your eyes" Bird box

by 쩌라맘 2021. 7. 12.
반응형

 

개봉 날짜는 한국 날짜로 2018년 12월 21일입니다.

 

감독은 수잔느 비에르이며, 각본은 에릭 헤이저러입니다.

장르는 드라마, 공포, SF, 스릴러입니다.

제작은 크리스 모간, 클레이턴 타운샌드, 스캇 스쿠버 입니다.

출연은 산드라 블록, 트로 반테 로스 등입니다.

이 영화는 넷플릭스(Netflix Korea)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배우들의 명연기

이 영화는 산드라 블록이 주연으로 연기한 영화입니다. 이 말만 들어도 우선 이 영화는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 겁니다. 산드라 블록은 '미스 에이전트', '오션스 8' 그리고 '그래비티' 등에 출연하면서 이미 몸값이 어마어마한 배우이기 때문입니다. 특히 이 '버드 박스'는 산드라 블록 혼자 거의 영화를 이끌고 갑니다. 주변의 다른 조연들도 등장하지만, 큰 줄거리의 맥락과 주인공의 감정변화, 환경변화 등을 산드라 블록이 표현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버드박스를 통해 산드라 블록의 연기를 보면서 또 성장했구나 하고 느꼈습니다. 그만큼 더욱 깊이있는 슬픔과 놀라움, 당혹감, 공포를 소리내지 않고 표현을 해 내었기 때문입니다. 저 처럼 산드라 블록을 좋아하신다면 이 '버드박스'는 꼭 보시길 바랍니다.

버드박스 줄거리

이 버드 박스의 이야기는 주인공 멜로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간다. 멜로리는 뉴스를 통해 사람들이 집단 자살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듣는다. 그러나 대수롭지 않게 뉴스에 나오는 이야기로만 생각한다. 그리고 현재 임신중인 멜로이는 동생과 함께 병원 진료를 받게되고 돌아오던 중 이상한 일을 겪게된다. 사람들이 자살을 하게되고 제시카도 갑자기 "엄마"라고 하더니 스스로 차로 뛰어들어 자살을 하게 된다. 어떤 사람의 도움으로 멜로이는 바깥의 어떤것을 보지않고, 안전한 집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집안에는 여러사람들이 모여있었다. 이 집안에서 사람들은 바깥의 어떤것을 피하기 위헤 눈이 아닌 씨씨티비로 봐 보지만 그 또한 불가능 하다는 것을 알게된다. 그리고 사람들은 집안을 바깥와 완전 차단하게 되고, 집안에서 갈등을 겪게된다. 그러다 모종의 일들을 겪으며 한명씩 사망하게 되고, 어떤 외부인을 집안에 들이게된다. 임산부 두명이 같이 출산을 하던 날, 이 외부인은 알고보니 어떤것을 보고도 자살을 하지 않은 특별한 사람이었다. 이사람은 억지로 어떤것을 보게해서 사람을 사망하게 하였다. 멜로리와 톰은 멜로리의 아들과 올림피아의 딸을 데리고 그곳을 벗어나게 된다. 멜로리는 톰을 만나게되고 아이들에게 정을 주지 않기 위해 보이, 걸이라고 이름을 붙인다. 그러나 어느날 눈을 뜨고 다니는 사람들이 온것을 알게되고 아이들을 지키기 위해 도망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톰은 사망하게된다. 멜로리는 라디오에서 들었던 대로 강을 타고 내려간다. 거친 급류속에서 아이와 멜로리는 눈을 가리고 서로를 안으며 누누구하나 희생하지 않고 낙원에 도착하게 된다. 그곳은 외부와 차단되어 있는 장님들이 사는 공간이었다. 마지막 결말이 장님들이 사는 곳이었다니 그리고 진짜 낙원이 있었다니 정말 놀라운 결말이었다. 

나의 감상평

버드 박스 영화를 실제 보시게 되시면, 숨을 언제 쉬었는지 모를 정도로 영화에 집중하게 됩니다. 내용이 긴박하고 숨을 쉴틈없이 이야기가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극 중 멜로리는 처음에는 임신을 해 아기를 출산을 준비하는 것도 원치않아하는 모습이었습니다. 그러나 영화가 진행되면서 자신의 아이인 보이 뿐 아니라 올림피아의 아이까지 걸 까지 내 자식처럼 품게 됩니다. 이모습을 보는 것 또한 이영화의 재미인것 같습니다. 그리고 이 영화가 버드박스인 이유는 '새장'을 가지고 다니기 때문입니다. 왜 새장을 가지고 다니는 지 궁금하신 분들은 영화 속에서 답을 찾으시길 바랍니다. 버드박스의 원작 작가 조쉬 말러맨은 버드박스2를 제작중이라고 발혔습니다. 아마 버드박스 2에서는 성장한 보이와 걸 그리고 사람들이 보는 어떤 것에 대한 정체가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눈을 뜨고 다니는 사람들이 그 낙원을 발견하게 된다면 어떻게 되나? 하는 부분도 궁금해집니다. 

반응형

댓글